API Gateway Pattern에는 API Gateway가 없다.
Microservices Architecture에 관해 이야기하면 왠지 API Gateway를 꼭 사용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. 과연 그럴까?
왜 함부로 API Gateway를 사용하면 안 되는지, 그래도 사용해야 한다면 언제 사용할지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.
우아한형제들의 서버개발그룹장분이 잘 설명해주셔서, 두고두고 보려고 기록해두는 글이다.
API Gateway Pattern에는 API Gateway가 없다.
Microservices Architecture에 관해 이야기하면 왠지 API Gateway를 꼭 사용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. 과연 그럴까?
왜 함부로 API Gateway를 사용하면 안 되는지, 그래도 사용해야 한다면 언제 사용할지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.
우아한형제들의 서버개발그룹장분이 잘 설명해주셔서, 두고두고 보려고 기록해두는 글이다.
Kubernetes에 Akka Cluster, Lagom 배포하기
Akka와 Lagom을 Kubernetes 환경에 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. MiniKube 환경에서 테스트하지만, 상용 Kubernetes 환경에서도 동일한 절차를 따를 수 있습니다.
Kafka는 공식 Docker 이미지가 없으므로 직접 Dockerfile을 작성하여 설치해야 합니다. 이 글에서는 Kafka를 Docker에서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.
Zookeeper는 공식 Docker 이미지를 제공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Kafka와 연동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.
웹서비스를 운영하려면 보통 웹서버, WAS, DB를 배포해야 합니다.
Akka나 Lagom을 활용할 경우, Cassandra와 Kafka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Docker를 이용하여 Cassandra를 배포하는 방법을 다룹니다.
쿠버네티스(Kubernetes, k8s)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, 스케일링,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다.
서버 개발자들은 개발한 서버 프로그램을 배포할 환경을 세팅하는 것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. 그 환경은 VM이 될 수도 있고, 물리 서버가 될 수도 있다. 최근에는 컨테이너 환경에서 배포하는 경우가 많다. 특히 쿠버네티스(Kubernetes) 환경을 사용하려면, 기본 컨테이너로 **도커(Docker)**를 이해해야 한다.